- 강남본점
- 수원점
고등학교 시절인 2010년부터 두통이 시작되어,
20대 중반부터 두통이 급격히 심화되고 이로인해 진통제를 수시 복용하던 환자분의 치료사례입니다.
MRI 등 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찾을 수 없었고,
편두통 치료제는 구토감을 유발하는 등 잘 맞지 않았으며,
이후 일반 진통제를 두통 느낌이 올때 빠르게 복용하는 방향으로 지내고 있었습니다.
한달에 3~ 4회 두통이 발생하는데, 한번 발생하면 2~3일씩 지속되니 한달에 10일 이상 진통제를 복용한 셈이네요
22년 11월 허리 통증으로 시술한 후 진통제를 꾸준히 복용하고 있어 이제는 한달 내내 진통제를 상용하고 있습니다.
두통과 더불어 악관절 근육 경직이 동반되면서 안면부 경직감, 통증도 같이 유발되고 있어요.
수면이 매우 불량하고, 소화도 항상 안 좋습니다.
이 환자분의 체질은 태음인으로,
태음인의 근육을 풀어내고 긴장도를 낮춰주는 열다한소탕과 체력보강을 위한 보대장탕을 주로 활용하였고,
치료 후반기에 코로나에 걸려 기침이 잦아지면서 기침할 때마다 두통이 발생하여
기침을 잡기 위해 폐를 보강하는 처방도 활용하였습니다.
총 4달 분량의 한약으로 치료하여,
두통 해소, 수면 정상화, 소화 양호한 상태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성향상 잘 참는 편이며, 업무에 열중하여 몸을 혹사하는 경향이 보여 생활관리가 절실해보이는 분이셨어요..
치료를 마치고 나서도 건강한 생활 패턴을 유지하셨은면 좋겠는데
그러지 못하실까봐 걱정이네요~
2023-01-16
주소증 - 편두통
초발 시기/상황 - 2010년 (고등학교 시절) 이때는 이렇게 까지 안 아팠는데, 20대중반즈음부터 급격히 아파졌음. (당시 MRA 찍어도 별무 이상. 긴장성 두통이라과 했었음.) 통증이 언제 올지 모르니까 불안한 감정도 있음
약을 안 먹게 되면 햇빛 자극도 오고, 눈도 부시고 싫다.
팔다리도 저리고 아파진다.
가만히 누워있다가 움직이면 번개맞은듯 저리고 심하다
발생빈도 - 한달 3~ 4회 / 2~ 3일 지속.
진통제 복용해도 여전히 통증 / 주로 아침에 발생 / 목어깨 통증 있음 / 박동성 두통 있음. / 월경주기영향있음.
복약 - 22년 11월말 허리 시술 받음. 시술이후약 복용 (진통제 포함) - 아프다 싶을 때 바로 먹으면 좀 낫긴 하는데, 약을 먹으면 졸립고, 피곤해지니까 일상 생활에 지장이 간다. 약을 먹으면 비몽사몽이다. 안 먹으면 두통이 너무 심하다.
자기전에도 어지러워서 뒤척이다가 잔다.
두통 낌새 없이 무조건 진통제를 먹으면 좀 덜하다.
뒷목부터 증상이 생겨난다. 뒷목이 알배긴듯 막힌듯한 느낌으로 시작, 턱관절이 뻐근, 올라가서 관자놀이 아파지고, 그담에는 안와통, 이후로 울렁거리고 실제 구토를 심하게 한다. 하루 정도 토하고 나면 좀 나아진다.(2~ 3일 지속)
생리 시작할 때 두통, 끝날 때 또 두통.
생리시작전에 진통제 먹어서 방어를 하면, 생리 시작하고 나서 두통이 매우 심하게 온다.
편두통약을 따로 먹어봤는데 10분도 안되서 토하게 된다.
일반 진통제도 조금만 늦게 먹어도 안 듣는다. 빈속에 먹으면 속도 울렁거린다.
아픈데~! 하고 먹으면 이미 늦었다.
목티, 마스크 매우 힘들어한다. 스포츠브라 안하면 브라하기 힘들다.
최근 허리 시술 받고 나서 현재는 일을 쉬고 있다.
평소 스트레스를 잘 참는 성향.
운동을 하는데 그게 잘 안되면 또 스트레스를 받는다.
재미가 떨어지고 흥미가 떨어진다. 싫증을 내게 된다.
피아노를 배워도 왜 안될까~하면서 집중하게 된다. 그것만 생각하면서 또 스트레스를 받는다.
전조증상 - 감정의 변화, 하품 사지무력감 구토구역감, 어지럼증
수면 : 불면 / 만성 피로 / 기억력 감소 있음.
앤한의원이 10년간 누적한
수많은 미주신경성 실신 치료사례를 직접 확인하세요!
앤한의원이 10년간 누적한
수많은 두드러기 치료사례를 직접 확인하세요!
앤한의원이 10년간 누적한
수많은 편두통 치료사례를 직접 확인하세요!
앤한의원이 17년간 누적한
수많은 알레르기 치료사례를 직접 확인하세요!
40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