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본점
- 수원점
50대 남성분이신 손**님.
3개월가량 두드러기가 발생하였고, 증상이 심할때마다 피부과에 내원하셔서 스테로이드성 주사제를 받고는 했습니다. 최근 들어 더 심해졌다며 이솝앤한의원에 내원하셨습니다.
중장비를 다루시는 분으로, 직업적 완벽성이 요구되어 일상적으로 스트레스가 강한 편으로 1년여된 불면증으로 수면제/안정제도 복용하고 계셨습니다.
체질은 태음인. 열태음인으로 간열이 많은 타입입니다.
치료를 8월 중순에 시작하시어 종료는 12월말에 하셨는데요, 일적으로 바쁘시고 먼곳에서 오시기 힘드시어 복약을 지속적으로 하시지 못하고 중간중간에 본인 맘데로(?) 한약을 중단해보거나, 다시 드셔보시거나 하시면서 - 나름의 테스트(^^;;)를 하시며 치료를 이어가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기계를 다루시는 분들의 직업적 특징인가도 싶습니다. 명확하게 딱딱 떨어지는 기계와 같이 몸도 정확하고 꼼꼼하게 분석해가며 개인적으로 한약 효과를 평가합니다. 그러다보니 저도 실은 치료 의지를 살짝 잃었었는데요.. 결국은 계속 치료를 스스로(?) 지속하셔서 완치 하시고, 이후 제게 신뢰를 좀 가지게 되셨는지 불면증 치료도 의뢰해주셨습니다 ^^;; 현재는 두드러기 치료는 완료하고, 불면증을 목표로 추가 치료중이십니다.
두드러기 한약은 총 세달 분량(90일분량)을 드셨네요.
2016. 8. 18
두드러기 - 3개월 경과 - 거의 매일 나는편. 가끔 안나는 날도 있다.
- 두드러기 갯수가 많지는 않으나 소양감이 강하고 힘들어한다.
입면난 1~ 2시간
수면중각성 3회
오늘도 스테로이드 주사를 2회나 맞았다.
요즘들어서 좀 심하다. 2년전에도 두드러기가 몇달 났다가 없어졌다.
당시에는 한의사가 처방해주는 야채죽(세포죽)을 먹었다.
술을 안함. 직업적 완벽성을 위해. 불면증으로 수면제를 가끔씩 먹는다.
2016. 8. 25
잠이 좀더 편했다.
입면난/수면중각성은 동일하나, 평소 예민하면 낮잠도 잘 못 잤는데 낮잠을 좀 잘 수 있었다.
두드러기 소양감도 약간 완화.vas8
2016. 8. 31
수면제 계속 복용하고 있었음 - 두달 정도경과. - 수면을 경과관찰 대상으로 하기 힘들다.
그간 두드러기 소양감vas7~8
일주일간 피부과 스테로이드 주사 2회 맞았음.
: 초반 2주일간의 치료약의 효과가 없었다고 판단하고, 체질 감별을 다시 시행하고 처방을 수정하였습니다.
2016. 9. 6
사담사간 복약하면서 3일전부터는 거의 안 올라온다. 80%정도는 호전되었다.
수면제는 여전히 복용중 - 점차적으로 줄이도록 노력해보세요
2016. 9. 22
두드러기 70%는 호전.
3일에 하루 정도는 두드러기 발생이 없다.
두드러기가 나도 가려움과 발생 갯수가 많이 완화되어
스테로이드 주사를 안 맞은지 한달이 되었다.
요즘 불면증은 좀 강하다.
수면중 각성은 1~2회이나, 입면난이 강하다. 잠들기가 힘들다.
2016. 9. 29
호전경과 도중 (80%까지 호전되었다가)
현재 편두통이 1주일 정도 경과함. (평소 일년에 1~2회 발생하는편)
:두통이 아프기 시작하면 30분~ 1시간 동안 눈물콧물 후두통 등이 유발됨
이후로 서서히 통증이 사라짐.
최근 일주일 간 매일 발생하고 있다.
오후 시간대에 더 두통이 호발한다.
편두통이 15회 정도 유발되고 나면 한동안 사라짐.
욱신거리는 통증
우측만 욱신거리고 눈물 콧물이 유발된다.
예전에는 자다가도 편두통이 유발되고했었다.
그러면서 두드러기가 같이 심해졌다. 2일전 스테로이드 주사를 다시 맞았다.
수면제 복용 - 계속 먹고 있다. 거의 매일 먹는다. 반알 정도. 1회 가량 정도 각성이 있다.
: 두통이 유발된 것으로 보아 이시기에 환자분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강하셨던 것 같습니다. 두드러기 면역 치료는 중간중간에 이러한 환자분의 환경 요인에 따라 증상 악화를 잠깐 겪기도 합니다. 그러나 환자분의 개인 상황이 아주 극심하지 않다면 다시 호전 경과로 되돌아오는 편입니다. 환자분께서 이때 치료 의지를 잃지 않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016. 10. 31
두드러기 60%정도는 호전되었다.
아예 안나는 날이 1/3일은 된다.
피로한날, 주로 저녁에 두드러기가 난다. 두드러기가 나도 예전처럼 심하지는 않
다.
그간 두드러기로 인해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적 은 없다.
대변 1일 1회
2016. 11. 8
두드러기가 70%까지 호전되었었다. 많이 호전되는 경과.
아직 두드러기가 나긴난다.
5일전쯤 두드러기가 강하게 발생(사진자료첨부)하였고 그이후도 2일째까지 심하지 않은 두드러기가 지속 되었다. 오늘은 없다.
최근에는 오후가 되면 얼굴에 열이 올라오고, 가렵다. 이 상황이 심해지면 두드러기가 발생한다.
수면은 아직 동일하다. -최근에는 다음날 일이 없어도 잠을 잘 못잔다. 어제도 1시간가량 잠을 자려고 있어도 잠이 안와서 수면제 사용하심.
편두통
3살때 경기를 자주했었음. 머리에 열이 많았다. 겨울에도 문을 열어버릴정도.
2016. 11. 17
상열감 완화.
밤에나는 두드러기 정도 완화.
7~80% 정도 호전.
2016. 12. 26
두드러기는 최근에는 거의 없는것같다. 100%호전에 가깝다.
두드러기 날때 혀가 얼얼하다. 최근에는 이것도 좀 해결되었다.이 증상은 보통은 오후늦게 발생. 두드러기는 안 날 때도 혀가 얼얼하였는데 이제는 이 증상도 없어졌다
-----------------------------------------------
불면증 - 수면제를 매일 사용하고 있다.
목욕탕에서 반신욕을 하면 졸리기는 하는데, 깊은잠이 안들고, 1시간 정도 이후에 깨어난다. 그래서 수면제를 다시 복용하게 된다.
올해 8월달 입면난 1~ 2시간
수면중각성 3회
최근에는 입면은 비슷한데, 중간에 깨는건 1~2회.
입면 - 10시~ 10시반에 눕는다. 수면제를 먹고 20분후에 누우면 10~20분후에 잠든다. 수면제를 먹으면 잠이들었다가도 제대로 입면이 안된다.
수면중각성 - 재입면이 쉽지 않다. 아예 못잘때가 있고, 30분 뒤척이다 잠들때도 있다.
총수면시간 : 6~7시간. 다음날이 일이 많으면 못자기도 한다.
정신과약 -수면제(저녁복용) 안정제(아침복용: 최근 2~3일전부터 먹기시작.)
---------상기 불면 증상으로 다시 불면증 치료에 들어가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