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본점
- 수원점
스트레스는 두드러기의 상당한 유발 원인입니다. 아니 실은, 가장 강력한 유발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 두드러기가 그래서 치료가 쉽지않죠. 이분은 50대 여성분으로 이미 두드러기가 6개월 경과한 상태에서 내원하셨고, 위 사진에서 보듯이 상당히 심한 상태십니다. 피부과약을 먹으면 두드러기가 없어지지만 약효가 떨어지면 여지없이 두드러기가 재발하기를 반복합니다.
또한 이분은 상당한 불면증을 동반하고 계십니다. 이미 오래된 스트레스 상태라는 반증입니다. 두드러기를 치료하면서 불면증도 어느정도 호전을 같이해야할 케이스입니다.
<치료 과정 포스팅은 해당 환자분의 동의를 얻어 진행합니다>
2017. 5. 1
주소증 - 만성 두드러기
경과 - 6개월 경과. ( 작년 11월 말부터 발생)
형태 - 넓은 팽진형, 소양감, 작열감, 통감
발생빈도 - 매일 발생, 24시간 지속, 아침,밤에 심하다
수면 : 입면난 - 2시간 (평소 잠이 안 좋은 편) - 4~5년 경과.
수면중각성 - 4회 - 깊이자야 1시간 지속된다. 어제는 생각이 많아서 거의 못잤다.
커피 - 초반 제한.
3~4년부터 팔꿈치쪽 마찰로 인해 유발된 소양증이 있었다.
동반질환 : 알레르기성 비염
과거치료 : 피부과,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재
현재복용중인약 : 소염제
효과 여부 : 먹으면 쏙 들어간다.
11월 말 돼지갈비 먹고 나서 - 이후로 온몸에 발진이 났음. 피부과 가서 1주일분 약 먹고 전혀발생안함. 이후 다시 재발. (고기 등 음식 제한) 약을 중단하니 다시 발생. 약 복용으로 속쓰림 발생하여 더 복약못함. 다시 내과가서 복약. 항히스타민제 15일분씩 두번 복용.
4월까지 하루 2회 매일 복용했다.
어제부터 복용중단 - 가렵고 증상 발생.
2017. 5. 8
화요일 이후 매일 저녁마다 항히스타민제를 먹고 잤다.
하루중에 새벽 2~3시에 가장 심하다.
어제 저녁 처음으로 항히타민제 안 먹었다.
어제 밤에는 양약을 안먹었으나, 첫날 만큼 심하지는 않았다. 연고는 좀 바른다.
엉치부위는 항히스타민제를 먹어도 하루 종일 가렵다. 연고를 발라도 소용이 없다.
땀이 평소에 도 거의 없다. 겨드랑이에나 조금 있는 정도.
트림을 자주 한다. 하루에도 수번을 한다. 속이 부글거린다. 가스가 많이 찬다.
2017. 5. 16
아직 밤에는 새벽녘에 가려워서 항히스타민제를 안먹기 힘들다. 항히스타민제 지속시간이 30시간을 아직 못넘기는것같다. 낮의 양상은 그래도 많이 줄어들었다. 낮에는 참을만하다.
이번주에는 변비경향이 생겨났다.
트림이 매우 줄어들었다. 가스차고 부글거리는 것도 줄어들었다. 방귀가 많이 나온다.
일주일에 2일 정도는 못잔다. 그러나 수면도 이제 좀더 좋아졌다.
2017. 5. 23
이번주 항히스타민제 3개 복용. (3일에 1회 복용하기도 하고, 연달아 복용하기도 했다) - 호전경과
트림, 가스참, 부글거림 - 5~6점.
무언가를 먹고나면 트림은 꼭 난다. 안먹어도 1번정도는 한다.
변비경향 있다 - 힘들게도 1일1회 보기도하고, 2일1회 보기도 한다.
입면난 - 1시간
수면중 각성 - 2시간 정도 연속해서 잔다. 이후에는 가려워서 깨어서 이후 잘 못잔다.
낮에 잠깐 조는 정도(소파에서 조는 정도)
2017. 6. 26
이번주 항히스타민제 1회 복용 : 소양감이 점차 더 줄어들고 있음. 호전경과.
아직 매일 두드러기 양상이 보이기는 한다.
트림, 가스참 팽만감 - 아직 좀 있다. 약먹어도, 식사를 해도 좀 있는 편
얼마전에 체했다.
2017. 7. 8
7월 2일 즈음 스트레스상황이 강했고, 이후로도 스트레스가 지속됨.
두드러기 강화.
이로인해 수면이 불량해짐.
2017. 7. 28
최근에는 환을 먹으면 기운은 없는데 잠을 잘잔다. 1시부터 4시까지 숙면한다.
저번주는 두드러기가 덜했다.
기운이 없어서 수요일 낮부터 한약 안 먹었다.
항히스타민제는 저녁에 먹었다. (2주만에 1회 복용한것)
2017. 8. 31
특정 부위가 지속적으로 가렵고, 긁으면 부풀어오른다.
그러나 초반에보다는 두드러기가 많이 호전되었다.
<이후 먼지역에 거주하시고 내원하시기 힘들어하시는 관계로 추가내원없이 전화로 경과 파악하였습니다 >
2017. 10.10
이제는 두드러기가 팽진형태로 올라오지 않는다. 붉어지고 가려움이 있다.
2017. 1. 27.
그동안 두드러기가 안났다. 호전 완료.
-> 경제적 여건상 초반3달 치료후 치료를 중단하셨다가 9월~ 10월에 걸쳐 추가 치료를 한달가량 하신 후 2018년 1월에 두드러기가 없어져 호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전화상으로 확인하였습니다.